Similar User
@plafinia
@plafina
@insidestory_kr
@2xldish
@imaum0217
@canvaswitch_
@fptlvltnwlq
@John_Grib
@starlakim
@ffreedomkr
@misshide08
@Vulpes_No9
@iron4gg
@practical_core
@_stevenyoo_
RT @plafina: 2018~2019의 책타래를 뒤로 하고 2020의 책타래를 새로 엽니다! 1~2월에 보는 3권의 책이예요! <당신 인생의 이야기 - 테드 창>, 독후감 이미 올렸죠. <열정의 배신 - 칼 뉴포트>, 속독으로 읽었는데 쓸만한 구…
안녕하세요. 이럴 때마다 가장 추천하는 책이 <잡았다 네가 술래야> 이 책입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서 다른 사람이랑 커뮤니케이션을 굉장히 잘하게 됐어요. 이전에는 제 요구사항이 있어도 꾹 참고 삼키는 쪽이었는데, 이 책을 읽고 단호하게 자기주장을 할 수 있게 됐어요! spinspin.net/q/67469f54a407…
1 예전에 친구가 이런 표현을 했다, "남자에게 보상은 섹스 말고는 없다." 언뜻 폭력적일 수 있는 납작함이지만, 나는 이 문장이 품은 오류가 남녀가 품은 섹슈얼리티 간에 꽤 큰 차이점이라는 생각을 했다. 남자는 이런 오류로 납작하게 눌러놔야만 이해할 수 있는 존재다. 반면에 여자는 그렇지 않다
(RT 이벤트) 물론 알고 계시겠지만 저는 게임 디렉터가 되기 이전에 게임 밸런스 디자이너로 일했습니다. (물론 수치 업무는 디렉터가 된 지금도 합니다) 그래서 수치기획에 대해서만큼은 상당한 수부심이 있고 관련된 최신 자료도 찾아 읽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수치기획 신간이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남성소셜이 만드는 전체화된 주장에 반하는 과정에서 페미니즘이 전체화 동향을 보일 수 있으니, 페미니즘은 남성소셜(억압자)의 전략을 무비판적으로 모방하는 역담론의 딜레마에 빠지지 않기 위해 높은 추상화 단계(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보라)에서 자기비판적이어야 한다.
비평은 <억압을 일으키는 주류 사상>의 <전체화된 주장>도 탐구해야 하지만, 비평 자체의 <전체화 동향>에 대해서도 자기 비판적이어야 한다. 적을 단일한 형태로 규명하려는 노력은, 일군의 다른 관점을 제시하는 대신 억압자의 전략을 무비판적으로 모방하는 하나의 역담론(reverse-discourse)이다.
0 <여섯 개의 불가능> 은 도달할 수 없다고 여겨지는 여섯 개의 유포리아(①사랑 ②모순 ③순결 ④언어 ⑤고요 ⑥휴식)를 여섯 개의 소공연으로 60분간 표현해낸 옴니버스 공연이예여. 퍼포머의 안무, 거문고 라이브, 아트필름, 미디어 아트 등이 교대로 펼쳐지며 눈과 귀가 무척 호강하는 공연이예여.
도대체 무슨 우연인지는 모르겠지만 뇌졸중 집중 치료실이 딸린 SU 병실의 간이침대에서 뇌질환에 관한 책을 하루만에 읽고 독후감을 쓰는 사람은 아마 전세계에서 내가 유일할 것이다.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은 뇌질환 중에서도 뇌졸중에 관련된 여러 신기한 특이임상들을 모아보는 책이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불교에 대해 어렴풋하게 알고 있지만, 제대로 된 교리를 알고 있지는 못한다. 나 또한 그런 한국인 중 하나로, 그런 나에게 <이제서야 이해되는 불교>는 불교의 핵심교리들을 알기 쉽게 알려주는 입문 수준의 책이다.
이 책은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국소적 실재성(local realism)의 부재를 실험적으로 증명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우리가 세계 및 그 주변물들과 대단히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양자론적 세계관이야말로 바로 그 증거라고 논하는, 카를로 로벨리 개인의 종교색이 매우 짙은 과학(?)책입니다.
저자는 이 책의 첫 장에서 "이 책의 Ego는 심리학 용어가 아니다"라고 밝히고 시작하였다. (이는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로, 심리학자와 정신과 의사들이 심리학 용어를 "사전적 의미"로 사용하면 굉장히 분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이 책의 Ego를 심리학 용어의 Ego와 함께 연결지어 생각하면 더…
나는 사회 부적응자다.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내 증상은 여전하다. 정상인이라면 이런 일로 고통받지는 않을 텐데 나는 왜 그러지 못할까? 다른 사람들은 일이며 취미며 사랑하는 사람과 인생을 즐기는데 왜 나는 이렇게 고통받을까? - 이런 한탄을 듣거나 말하는 일은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일이다.
인간은 어떤 지식체계에 강하게 사로잡히면, 이로부터 이탈하는 건 아주 힘들다. 어떤 지식체계에 종속된 상태에서, 이에 관해 냉정하게 자기비판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지식체계의 <어떤 여백>에 위치해야지만, 지식체계에 관한 비판적인 관점을 얻고 이탈의 힘을 부여할 수 있다.
719 페이지나 되는 코스모스를 전부 읽었다. 코스모스는 과학에 관한 기초지식을 가장 알기 쉬운 형태로 전달해주는 대중서란 평이 지배적으로, 한 가지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면 시니어보단 주니어에게 압도적으로 추천되는 서적이기도 하다는 점이 그것이다. 어째서? 그 점이 내게는 가장 흥미로웠다.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은 1930년대에 쓰여진 <발터 벤야민>의 50여 쪽에 달하는 철학 에세이로,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영화>라는 매체가 예술이란 장場을 어떻게 변화시킬는지에 관한 미학 논문이다. 동시대 전체주의 VS. 공산주의 대립상에 관해서도 담아낸 2판의 역사적 가치는 높다.
아니 근데 계급투쟁에 대해 너무 알게 쉽게 써주신 것 아니냐 ㅋㅋㅋㅋ 정말 명쾌한 분석이라 팟하고 이해가 됨.. 본질은 미술철학책인데 갑자기 계급 얘기 나오고 파시즘 얘기 나오고 진짜 뭐임? 대가리 꽃밭 마인드로 팬들 프로파간다하는 아이돌 산업 갑자기 명치 맞음
삶에 예술은 어째서 필요한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굉장히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지만, <예술이야말로 이성과 감정이 융화되는 가장 넓은 광장이기 때문>이라고 답하고 싶다. 합리주의에서 감정은, 이성보다 열등한 것이고 혼란스럽고 미성숙하고 불완전한 것이며 이성으로 대체되어야 할 무언가다.
<이토록 기묘한 양자>는 양자역학이 새롭게 만들어낸 6종류의 세계선(과학용어 아님, 서브컬쳐 용어임)에 대해 다룬다. 최근 방영된 드라마 <로키>에서는 Sacred Timeline이란 이름으로도 다루어졌는데 다중우주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 신성한 시간선이고 본책에서는 <다세계 해석>으로 소개되었다.
양자역학의 신비한 세계 ①코펜하겐 해석: 우리가 관측하지 않은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②다세계 해석: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은 평행세계에서 실제로 일어난다 ③결어긋남 해석: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일은 이미 일어났고 우리는 그 일부를 알 뿐이다 ④거래 해석: 미래는 과거에 영향을 미친다
커서 무엇이 되고 싶으신가요? 이것이 경력 모델에서 던지는 핵심 질문이예요. 완벽한 대답은 필요 없어요. 지금 현재 노력을 집중하고 목표로 삼을 답을 내놓으면 그걸로 충분해요. 하나를 골라서 전념을 해보세요. 여정 자체가 흥미로울 수 있다면 그게 경력개발에서 더 중요하니까요.
United States Trends
- 1. Spotify 2,84 Mn posts
- 2. Snape 5.021 posts
- 3. Pete 943 B posts
- 4. CEOs 30,2 B posts
- 5. $EMT 4.086 posts
- 6. Mbappe 173 B posts
- 7. $HAWK 7.409 posts
- 8. Hawk Tuah 26,1 B posts
- 9. #EarthMeta 1.668 posts
- 10. Sister Jean 1.077 posts
- 11. United Healthcare 97,1 B posts
- 12. Arsenal 428 B posts
- 13. Brian Thompson 170 B posts
- 14. Preemptive 39,4 B posts
- 15. UHC CEO 11 B posts
- 16. Alan Rickman N/A
- 17. Anthony Fauci 34,7 B posts
- 18. Citibike 12,6 B posts
- 19. Team USA 6.932 posts
- 20. Chipotle 9.143 posts
Something went wrong.
Something went wrong.